본문 바로가기

미국주식투자

코로나19 이후 주식 거래내역 분석 및 시황 점검 2월 19일 나스닥은 고점(9838 포인트, 만 포인트 찍을거라고 기대감에 가득 찼던 때가 엊그제 갔다.)을 찍었고 그 이후 코로나바이러스의 중국 외 국가 발병 증가로 글로벌 경제는 휘청거리기 시작했다. 그 이후 정말로 정신없이 주가가 빠른 속도로 하락해서 거래일 기준 19일 만에 미증시는 약세장에 돌입했으며, 나스닥도 하루에 10% 이상 빠질 수 있다는 것을 처음 알게 된 시간이었다. 나스닥은 3월 28일 기준 약 23% 하락한 상태이며, 3월 23일에 약 30% 하락으로 현재 최저점을 기록한 날짜다. 2월 19일~3월 27일까지, 약 한달하고 1주일되는 기간동안 미증시에 커다란 변화가 찾아왔으며, 하락 서킷브레이커가 여러번 걸렸었고, 거래 빈도수도 크게 늘어났다. 그 정신없던 기간동안의 주식 거래내역.. 더보기
현금보유량이 가장 많은 미국 기업 순위 'Cash is king in a bear market'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미국증시는 약세장으로 들어갔으며, 리세션이 거의 다가왔습니다. 앞으로 얼마나 더 하락할지 모르는 불확실한 상황 속에서, 이러한 위기에서 끝까지 살아남을 수 있는 기업은 단연 캐쉬 즉 현금보유량이 가장 많은 기업일 것입니다. Investor's business daily 2020년 3월 19일 기사 Investor's business daily(IBD)라는 웹사이트에 나온 현금보유량이 가장 많은 기업 순위입니다. 가장 최근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며, 순현금(net cash)은 현금과 단기투자에서 총 부채를 뺀 값입니다. 위에서 아래로 순위가 매겨지는데, 구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페이스북 순으로 진행됩니다. 가장 인상.. 더보기
유가 급락과 경기침체 공포로 하락한 미증시 200321 초반에 미국증시는 상승기세였다. 프리마켓 때부터 상승기류를 탔었으나, 유가 급락과 코로나19에 대한 공포로 결국 장중 하락폭을 확대하면서 다시 전 저점을 갱신해버렸다. 이로서 나스닥은 전고점 대비 -30% 수준에 머물러 있다. 미국주식투자를 하는 사람으로서 지금보다 앞으로가 더 걱정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혼란스러운 미국증시 상황 속에서 살아남은 몇 개 기업들이 눈에 보인다. 오라클, 쉐브론 등은 오히려 상승했으며, 아마존은 미국 5대 테크 주 중에서 가장 하락폭이 작았다. 온라인 쇼핑의 강자이며 미국 내 10만 명을 고용해서 실업률 저하에도 기여하여, 필수품 공급에도 기여하는 아주 훌륭한 기업이다. 종목별로 하락폭의 편차가 심하다. 채권 TLT는 오랫만에 7% 상승했으며, 금 GLD도 1.5% 상승했다... 더보기
통화 스와프 체결 및 부양책으로 미증시 반등 200320 오랫만에 보는 미국증시의 반가운 반등, 하지만 사실 불안하다. 미국정부를 포함한 각국 정부에서 부양책을 발표하고 통화스와프를 통해 국제적인 공조가 나타나는 모습이다.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공포로 시장의 투자심리는 얼어붙었는데, 간만에 변동성이 줄어들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나스닥은 2.3% 상승한 반면 다우지수는 0.95% 상승, S&P500은 0.47% 상승했다. 통화 스와프가 가장 큰 이슈인 것 같은데, 한국의 경우 어제 달러환율이 1300선까지 돌파하면서 달러환전을 하는 사람이 크게 늘었다. 하지만 어제 밤 9시쯤에 갑자기 한국이 600억원 상당의 통화 스와프를 체결하면서, 아마 내일 다시 원화로 환전하는 사람이 크게 늘어날 것 같다. 통화 스와프란 정해진 금액만큼 각 국가간 일정한 환율을 정해.. 더보기
코로나 바이러스 때문에 텅 빈 거리 코로나19의 확산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중국에서는 이미 증가세가 둔화되었고, 한국에서는 어제 증가수가 100명 이하로 나왔다. 한국은 전세계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대처를 훌륭하게 한 모범사례로 기억되고 있는 듯 하다. 하지만 문제는 유럽과 미국이다. 중국 외 국가에서 감염자 수 증가속도가 너무 빠르다. 한국이나 중국처럼 대대적인 방역을 하지 못하고, 감염자의 확산경로도 자세하게 추적할 수 없으며 한국처럼 경각심을 갖고 대처하는 것 같지도 않다. 내일 월요일부터 새로운 장이 열리겠지만, 다음 주도 피바람이 불 것만 같다. 아니면 미스터 마켓이 코로나19에 대한 공포감을 충분히 반영하고 이러한 공포에 익숙해져서 생각만큼 크게 반응하지 않을 수도 있다. 물론 한국이라고 아직 안심할 단계는 아니다. 정부차원에서.. 더보기
코로나19 발 경기침체 우려 이겨내보자 안녕하세요 gurumin입니다. 코로나19로 인해 시장의 변동성은 극대화되었고, 각종 우려로 인해 경기침체 혹은 공황이 나오는 것이 아니냐는 말이 나오고 있습니다. 경기침체의 기준은 분기가 연속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할 때를 말합니다. 이미 미국증시는 약세장에 돌입했고, recession은 아직 좀 더 기다려봐야 합니다. 지금의 하락장이 얼마나 이어질지, 하락의 폭이 어디까지일지 아무도 알 수 없습니다. 과거 5번의 recession(경기침체) 사례에서 섹터별 평균사업수익률을 경기침체 전과 후로 비교해서 나타낸 표입니다. 쉽게 생각하면 빨간색은 마이너스, 초록색은 플러스 성장입니다. 미국의 경기침체 전 후로 12개월, 6개월, 3개월, 1개월 단위로 기록되어 있는데, 경기침체 전후로 비교적 빠르게 회복.. 더보기
증권사에서 대신증권으로 달러 외환 이체 하기 증권사끼리 외화이체를 하는 것은 매우 복잡한 과정이다. 외환업무는 증권사가 아니라 은행의 영역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쉽게 하는 방법은, A증권사 - 은행 - B 증권사 순으로 달러를 이체하는 것이 좋다. 한국투자증권에 있는 미국달러를 하나은행으로 이체하고, 하나은행에서 외화이체로 대신증권의 외환계좌(하나은행)으로 옮기고, 대신증권 앱이나 전화로 외화입금통보를 하면 모든 절차는 완료된다. 정말 다행인 것은, 대신증권이 외화를 받기 위한 계좌가 KEB외환은행(하나은행) 이라는 점이다. 하나은행에서 하나은행으로 외화이체는 수수료없이 즉시 가능하다. 한국투자증권에서 하나은행으로 외화이체를 하는데 수수료는 700원밖에 들지 않았다. 그리고 하나은행에서 바로 입금처리되어서 기다릴 필요도 없었다. 어떤 경우에는 외화.. 더보기
미국증시 하락하고 불확실할 때는 공부하자 금리가 내려가면 금융주는 더 많이 떨어진다. 왜냐하면 예대마진이라고 해서 대출금리에서 예금금리를 뺀 차액으로 돈을 벌기 때문에 이 수익이 줄어든다. 반대로 건설업종은 호재다. 대출금리가 저렴해지기 때문이다. 어제 밤에 금리를 50bp내렸는데, 앞으로 추가로 더 내릴 수도 있다고 하니 채권과 금의 수익률은 계속 올라갈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하락장에서 비이성적으로 생각했던 것이 주식이 내려가는데 금값도 같이 내려갔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제서야 금값이 빠르게 올라가면서 제 자리를 찾아가는 모습이다. FED의 금리 이동 그래프인데, 노란색은 정기미팅이고, 빨간색은 갑작스럽게 내린 결정이다. 그래프에서 보다 시피 빨간색 표시가 되어 있는 부분이 2008년 세계중앙은행 액션 이후로 처음으로 2020년 3월3일에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