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증시

미국증시 하락장에서 골드만 삭스와 배런즈가 선정한 주식들 장단기채권금리역전, 미중무역협상, 경기침체 등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올라가는 종목이 있다. 모든 종목이 꼭 다 떨어지는 것은 아니다. 골드만삭에 따르면 코로나 바이러스에 안걸리기 위해서는 집에 머무르는게 가장 최선의 선택이라고 한다. 집에서 넷플릭스 보는게 좋은건 누구나 다 안다. 도미노 피자처럼 주문배달이 가능한 음식을 제공하는 기업은 코로나 발 미국 조정장에도 주가가 상승했다. 하지만 미국 내 매출 비중이 높은 기업을 투자하는게 더 안정적인 투자가 될 것 같다고 한다. 왜그럴까? 해외매출비중이 높은 기업(예를 들어 중국)의 경우 미국 내 매출 비중이 높은 기업보다 수익률이 낮은데, 미국은 높은 임금상승률, 낮은 실업율, 높은 소비자신뢰지수, 가구 부채 수준 감소 때문이다. 골드만 삭스(goldman .. 더보기
코로나 바이러스 발 미국증시 조정 대응을 위한 재정비 공부 하락장에 대비한 주말 재정비/공부 미주미 유튜브를 보면서 스스로 공부합니다. 지금처럼 급격한 하락장과 시장의 공포가 만연해 있을 때 오히려 게임을 한다던지 영화를 보던지, 혹은 가족들과 더 많은 대화를 나누는게 좋지, 떨어진 주식 계속보면서 스트레스 받지 맙시다. 주말동안에 재정비를 해서 다음 주 상황에 좋은 대응을 해서 지금까지의 손실 혹은 실수를 만회해서 훗날 이 날을 뒤돌아 볼 때 후회가 없기를 바랍니다. 뉴욕시 자산 관리사 1위인 Jason Kats의 CNBC 인터뷰에 따르면,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시간이라고 합니다. 거래하지 말고, 기다리라는 말입니다. 물론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가 지금 우리에게 연준의 금리 인하보다 더 중요한 것이 사실이지만, 투자자로서 성급하게 매수/매도하지 말고 긴 .. 더보기
미국증시 점검 200229 나스닥 보합 마감 안녕하세요 gurumin입니다. 미국증시는 코로나19(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공포감(pandemic)으로 기록적인 속도로 하락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정말 무서운건, 아직 바닥을 모른 다는 것입니다. 다우지수는 1.39% 하락, S&P 500 지수는 0.82% 하락, 나스닥만 보합으로 0.01% 상승 마감했습니다. 역대 최단시간으로 고점 대비 하락률 10% 이상을 넘긴 조정장입니다. 미국 주식시장에서 거래일 기준 7일 연속 하락하면서 시가총액이 약 6조달러가 증발되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경우 장 초반 매도가 속출했었으나 장 마감 직전에 갑자기 상승하더니 결국 2,5% 상승마감했습니다. 그 외에도 구글 1.85% 상승, 페이스북 1.43% 상승, 애플 -0.06% 하락, 아마존 -0.03% 하락이.. 더보기
미국증시 조정장과 약세장 역사를 이해하자 안녕하세요 gurumin입니다. 코로나19 발 증시 하락장 속에서 힘겨워하는 사람이 많습니다.(물론 저 또한 마음이 편하지 않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더 많은 공부를 해야하며, 미국증시의 조정장과 약세장 역사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증시 조정장 2차 세계대전 이후 26번의 조정이 있었으며 평균 -13.7%의 하락이 있었고, 회복하는데 평균 4개월이 걸렸다. 가장 최근에 발생한 조정장이라면 누구나 아는 미중무역전쟁으로 인한 2018년 9월부터~12월까지 약 20% 하락폭을 기록했던 조정장이다. 그리고 난 이걸 경험했었으니, 이번 조정장도 견뎌낼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물론 이번 코로나 발 조정장은 미중무역전쟁 발 조정보다 하락하는 속도가 너무 빨라서 더 무서운 것이 사실.. 더보기
코로나 바이러스 대유행을 우려하는 미국증시 이거 좋지 않은 신호다. 코로나 바이러스 대유행(pandemic)에 대한 진짜 걱정으로 미국증시는 크게 하락했다. 다시 미국증시는 피범벅이 되고 말았다. 이번엔 하락폭도 매우 커서 정말 정신적인 충격이 상당할 듯 싶다.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글로벌 밸류 체인이 무너지면서 미국은 아직까지 피해가 없는 듯 하지만 미국 나홀로 잘 나가기를 기대하는 건 어려워지는 형국이다. 마이크로소프트가 7%하락, 구글 5%하락, 아마존 4% 하락, 애플 6%하락인데 개인적으로 MSFT가 이렇게 한 번에 많이 떨어진거 처음본다. 테슬라도 12% 하락했다. 그나마 적게 떨어진 종목은 화이자(PFE), 페이팔(PYPL) 등인데,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를 개발하는 길드(GILD)마저도 떨어진걸 보면 이번 하락장은 매우 무서웠다... 더보기
코로나19로 인한 미국증시 급락 이후 대응 전략은? 어제 파란색으로 물든 미국주식시장의 충격에서 아직도 헤어나오지 못한 사람들이 많을 것 같다. 코로나19(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정식 명칭)의 확산속도가 느려지는 듯 했으나 그것은 우리의 착각이었다. 중국 외 국가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자수 급증으로 인해 전세계는 불안감에 휩싸였으며, 글로벌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본격적으로 커지기 시작했다. Fear & Greed index(공포와 탐욕 지수)를 보면 Fear 단계로 들어왔다. 투자자들의 두려운 마음을 잘 나타내주는 듯 하다.여기에서 조금만 더 내려가면 극도의 공포 단계로 간다. 프리마켓과 나스닥 선물시장에서는 0.5% 상승을 가리키고 있다. 어제의 급락을 보상하려는 듯 약간의 매수심리가 살아나는 듯 하다. 시장 변동성 또한 극도의 공포를 나타내고 있.. 더보기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오늘도 어느 평범한 하루처럼 서점으로 책을 보러 갔다. 아뿔싸,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감염자 증가속도가 지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뉴스를 확인했다. 그리고 허겁지겁 다시 집으로 돌아왔다. 눈에 보이지 않는 바이러스라는 놈을 피하기엔 너무 무리다. COVID 19는 우리의 예상을 뛰어넘어서 한국에서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우리의 미래는 언제나 불확실하며 새로운 사건이 생겨난다.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다는 불확실성을 제거하기 위해 집으로 돌아왔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현황(2020년 2월 22일) 전 세계 기준 치사율이 3%로 20일전 대비 1% 상승했다. 사망자수는 300명에서 2360명으로 상승했다. 한국의 경우 20일 전 감염자 수가 15명이었는데, 현재 346명으로 20배 넘게 증가.. 더보기
미국증시 조정장을 바라보는 생각 오랫만에 비가 내린다. 최근에 눈이 내리더니... 온도가 조금 올라서 비가 오는건가? 비도 오고 미국 시장에도 조정이 오니 타이밍이 기가 막힌다. 비오는 날 써보는 혼자만의 생각 2019년 연말부터 폭주기관차처럼 달리던 미국증시가 이제서야 좀 숨을 고르는 모양이다. 2019년 10월 9일부터 2020년 2월 21일까지 약 4개월동안 25%나 상승했다. 한 달로 치면 6%씩 상승한 셈이다. 이 시기만 qqq etf로 먹었어도 워런 버핏 형님 연평균 수익률과 맞먹는다. 크리스마스 해피 랠리가 언제까지 이어지나... 유심하게 시장을 관찰하면서 걱정하는 마음도 조금 있었다. 주식시장에는 상승이 있다면 하락도 있는 법이다. 계속 상승만 하는 주식시장은 욕심과 거품이 끼기 마련이다. 조금 쉬었다 가야 더 멀리 간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