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전자산

미국증시 점검 200229 나스닥 보합 마감 안녕하세요 gurumin입니다. 미국증시는 코로나19(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공포감(pandemic)으로 기록적인 속도로 하락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정말 무서운건, 아직 바닥을 모른 다는 것입니다. 다우지수는 1.39% 하락, S&P 500 지수는 0.82% 하락, 나스닥만 보합으로 0.01% 상승 마감했습니다. 역대 최단시간으로 고점 대비 하락률 10% 이상을 넘긴 조정장입니다. 미국 주식시장에서 거래일 기준 7일 연속 하락하면서 시가총액이 약 6조달러가 증발되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경우 장 초반 매도가 속출했었으나 장 마감 직전에 갑자기 상승하더니 결국 2,5% 상승마감했습니다. 그 외에도 구글 1.85% 상승, 페이스북 1.43% 상승, 애플 -0.06% 하락, 아마존 -0.03% 하락이.. 더보기
미국 채권 ETF 비교 ( TLT vs EDV) 안녕하세요 gurumin입니다. 증시가 불안하거나 경기가 하락할 때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상승하기 마련입니다.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는 채권, 금, 달러 등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채권은 널리 알려진 안전자산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때 주식 60%, 채권 40%로 구성하는 전통적인 자산 배분 포트가 있습니다. 채권은 duration(기간)이 길수록 변동성이 커지고 수익이 커지는데, 돈을 빌려주고 더 긴 시간 뒤에 받게 되면 위험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이익이 커지는 원리입니다. 2019년 8월쯤 미중 무역전쟁이 격화되어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극에 달할 때 미국 언론에서 100년짜리 초장기 채권에 대한 이야기도 스멀스멀 나왔었습니다. 보통 단기채권은 3개월~1년, 중기채권은 10년~15년 정도, 장기채권은 20년.. 더보기